|
침대, In Bed
에두아르 뷔야르 Edouard Vuillard, 1868~1940
관련 링크 네이버지식백과 http://bit.ly/Qcvy0r Works of Art http://bit.ly/QcvAoT Wikipedia http://bit.ly/Qcvrlp |
서울에 직장을 잡으면서 반지하 원룸 생활이 시작되었다.
부모님은 졸업과 동시에 취업을 한 딸을 위해, 기꺼이 만기가 얼마 남지 않은 적금을 깨고 거기에 약간의 빚을 얹어 자취방을 잡아주었다. 나는 처음 부모님과 떨어져 홀로 살게 될 앞으로의 생활에 대한 두려움과 기대감, 그리고 '원룸'이라는 단어에 어려 있는 묘한 세련됨에 설렜다.
정작 이사 당일 부모님이 어렵게 얻은 그 월세방은 서울 변두리의 다세대주택 반지하 방이었고, '원룸'이란 건 말 그대로 방이 하나뿐이라는 의미에 지나지 않는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기대감에서 세련됨을 걷어내니 두려움이 밀려왔다. 직장, 상사, 회식, 월급, 세금고지서, 집주인 등등. 매 순간 처음 접하는 단어들이 일상으로 자리 잡았고, 이 모든 것을 혼자 처리해나가야 하는 이 생활을 두고 독립만세를 부를 기분이 나지 않았다.
두려움 극복을 위해 가장 먼저 한 것은 고작 현관문의 잠금장치를 비싼 거로 바꿔 단 것이었다. 값비쌈이 안전함을 보장해준다는 듯이. 현관문을 잠그는 그 금속성 음향은 그 어떤 음악보다도 내게 평온을 가져다주었다. 칠은 벗겨지고 여기저기 흠집으로 가득한 낡은 현관문에서 오직 교체된 잠금장치만이 완벽하게 어두울 수 없는 도시의 밤에도 번쩍거리고 있었다.
반지하 방의 창문은 대개 거리에 맞붙어 달렸기 마련이다. 창은 하늘을 보는 것이 아니라 시멘트바닥을 지나다니는 오토바이의 바퀴나 바쁜 도시인들의 다리를 보여주었다. 고개를 숙이는 수고를 감수한다면 누구나 내 방을 훤히 들여다볼 수 있다. 창은 내다보기 위한 것이 아니라 들여다보기 위한 것이었다. 현관 잠금장치 다음으로는 창에 커튼을 달았다.
두려움은 사람을 폐쇄적으로 만든다. 잠금장치와 커튼은 외부로부터 나를 안전하게 보호해주었다. 적어도 난 그 속에서 안전하다고 생각했다.
마지막으로 침대를 들여놓았다. 침대는 내 집이자 내 방인 이 공간의 절반을 차지했다. 집에 돌아오면 대부분 시간을 침대 위에서 보냈다. 이 좁은 방은 내게 너무 넓었던 모양이다. 그 좁음조차 절반으로 나눈 것을 보면.
직장생활을 피곤했다. 선배들은 입을 모아 처음에는 다 그렇다고 말했다. 일도 일이지만, 상하좌우의 낯선 인간관계들 속에서 하나하나 살아가는 법을 배우려면 몸이 아니라 머리가 피곤해지는 법이다. 직장생활 처음 한두 달은 집에 돌아오면 쓰러지듯이 잠을 잤다. 침대는 내게 아늑한 잠자리 그 이상이었다.
안전함 속에서의 아늑함을 방해하는 최대의 난적은 소음이었다. 도시의 밤은 사람들을 거리로 쏟아내고는 밤새 잠들지 못하고 흥청거렸다. 형태를 갖추지 못한 정체불명의 소음은 견고한 콘크리트 벽면에 스며들었다. 소음에 대응하는 유일한 자기방어는 소음에 소음을 더하지 않기 위해 침묵하는 것이었다. 그리고 외부의 소음이 날 삼켜버리기 전에 난 기꺼이 침대의 심연으로 가라앉았다. 처음에는 피곤한 삶이 나를 잠재웠으나, 삶이 익숙해져 소음을 느낄 수 있을 경지가 되자 스스로 침대로 숨어들었다. 그리고 소란스러움을 하루빨리 벗하며 살 수 있기를 기원했다.
일요일 오전이었다.
한 주의 수면부족을 일요일의 수면으로 보충해야 한다며 다분히 의식적인 잠에 빠져 있었다. 창 밖에는 누군가 요란하게 싸우고 있다. 밤도 아닌데. 누굴까? 도대체 어느 몰지각한 사람이 이웃은 조금도 생각하지 않고 주택가 길거리에서 이렇게 난리를 치고 있는가? 의식은 끊임없이 그들을 비난하고 있었지만, 몸은 침대에서 꼼짝도 하지 않았다. 그들이 창문을 두드리기 전까지는 그들은 나와 무관한 사람들이었다.
창문을 흔든다. 누구야? 도대체! 그냥 제풀에 그만두고 제 갈 길을 가줬으면 좋겠다. 그들은 멈출 생각이 없다. 뭐라고 소리도 친다. 화가 난다. 도저히 참을 수 없다. 침대를 빠져나와 커튼을 신경질적으로 열었다. 엷은 햇살이 대낮에도 캄캄한 방 안으로 쏟아져 눈이 부셨다. 눈부심이 걷히자 창밖엔 어리둥절한 얼굴로 부모님이 나를 거꾸로 바라보고 계셨다.
"거 봐라, 내가 뭐랬노. 이 집 맞는다니까."
"이상하네. 근데 왜 열쇠가 안 맞노?"
"할망구가 구멍을 잘못 낀 게지."
"이상하네. 분명히 몇 번씩 돌렸는데. 근데, 왜 소리는 치고 난리고."
부모님은 아직도 주택가 길가에서 못다 한 싸움을 하고 있다.
'덧칠하기 > 그림, 그리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생일 | 마르크 샤갈 (Marc Chagall, 1887-1985) (0) | 2012.10.13 |
---|---|
X부인 | 조르주 루오(Georges Rouault, 1871-1958) (0) | 2012.10.10 |
X씨 | 조르주 루오(Georges Rouault, 1871-1958) (0) | 2012.10.10 |
피아노 레슨 | 앙리 마티스(Henri Matisse, 1869-1954) (0) | 2012.10.10 |
소년과 큰새 | 에밀 놀데(Emil Nolde, 1867-1956) (0) | 2012.10.10 |
작은 흰색 | 바실리 칸딘스키(Wassily Kandinsky,1866-1944) (0) | 2012.10.10 |
둘 사이 | 바실리 칸딘스키(Wassily Kandinsky,1866-1944) (0) | 2012.10.10 |
세탁부 | 툴루즈 로트렉(Taulouse Lautec, 1864-1901) (0) | 2012.10.10 |
댓글